-
반응형
합판이라는 재료는 그 기원을 찾아보면 고대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합판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영어권 사전에 등록된 것은 1927년에 이르러서였습니다.
합판의 기원
1922년에 기원전 1325년경의 투탕카멘왕의 무덤에서 흑단 단판의 적층 기법과 상아에 의한 상감 처리기법이 보여지는 상자가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합판 제품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합판을 만들기 위해서 단판을 붙이는 데 사용되었던 접착 기술은 이미 이 당시보다도 훨씬 앞서 발달 된 것이었습니다.
단판을 이용한 장식술은 기원전 3000년경부터 시작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장식적인 화장 단판을 깎는 목적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매력적이고 귀중한 목재의 이용도를 최대한 높이기 위한 수단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렇게 귀중한 목재는 이집트 등의 예술적인 목제품 제조 중심지로 수입되었으며, 공급지는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이 당시 이집트에서 생산되는 장식용 목재로는 버즘나무, 아카시아, 야자수 정도를 들 수 있습니다. 외국산 목재로는 인도로부터 호두나무나 티크(teak), 흑단 등을 수입해 사용하였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화장 단판을 장식용 목적으로 사용해 왔습니다. 하지만 그 양은 이집트에서 사용된 것 보다 적은 편이었습니다. 고대 그리스 초기에는 공공건물용 가구와 사원에서만 예술성과 탁월한 기술을 적용하여 제조했지만, 나중에는 일반 시민들 역시 호화로운 가구들을 사용할 만큼 대중적으로 되었습니다. 로마 시대에서는 장식적인 가치가 큰 고가의 아름다운 단판과 함께 세공 형태 및 기교를 가장 우선적인 것으로 취급하였습니다.
주로 활엽수재로 제조되는 장식용 화장합판과 비교해 볼 때 침엽수재 합판은 비교적 최근에 이르러서야 제조되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에서 1900년대에 시작이 되었기 때문에 침엽수 합판 제조 공장은 미국에 가장 많이 밀집해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합판이 제재목에 대한 대체품으로 목재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이 되었는데, 칼날로 깎아 낸 얇은 단판을 이용하여 인접 층 사이의 목리가 서로 직교 되도록 접착, 적층하여 제조한 판상 재료입니다.
1차 세계대전 기간에 구조용 목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게 되는데, 바로 이때 침엽수 합판공업의 성장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합판은 새로운 디자인 및 재료로써의 잠재력을 크게 가지고 있었기에, 구조용 재료로 여러 곳에 쓰이게 되었습니다.
합판의 특징
합판의 특징은 판재에 비하여 균질이며, 강도가 큽니다. 그리고 팽창수축이 적습니다. 또한 소경의 목재에서도 넓은 판을 얻을 수 있으며, 곡면 가공이 가능합니다. 여러 가지 아름다운 무늬를 얻을 수 있고, 합판의 가장 큰 장점은 규격화가 되어있어서 사용하기가 매우 편하다는 것입니다.
합판의 종류
합판의 종류로는 보통합판과 특수합판 방부 합판, 방화 합판으로 크게 나누어져 있습니다.
1. 보통합판
보통합판에는 3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1류 합판은 resorcinol resin, melamine resin, 석탄성 수지 등으로 접착시킨 합판으로서 옥외 및 습윤상태에 장시간 노출해도 접착성이 유지됩니다. 1류 합판은 욕실의 내장이나 차량, 선박 등의 내외장 및 콘크리트 거푸집에 사용되며, 외장용 합판이라고도 합니다.
2류 합판은 증량제를 사용하지 않은 요소수지접착제 등으로 접착시킨 합판으로서 악기나 식탁, 책상 등에 쓰이며, 내장용 합판이라고도 합니다.
3류 합판은 증량 요소수지, 카세인 수지, 접착제 등으로 접착시킨 합판으로서 보통의 건습상태가 변화되더라도 접착성이 유지가 됩니다. 일반 건축물의 내장이나 가구, 포장 등에 사용됩니다.
2. 특수합판
특수합판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2 플라이 합판은 단판 2매를 섬유 방향에 직교하도록 접착시킨 합판으로서 주로 포장에 사용이 됩니다.
경량 합판은 두꺼운 합판의 중량을 가볍게 할 목적으로 만든 합판으로서 코어에 공간을 많이 두거나 비중이 가벼운 재료를 사용하게 됩니다.
사교 합판은 5 플라이 이상의 다층 합판에서 코어의 섬유 방향을 45º 또는 30º의 각도로 겹치지 않게 적층시킨 합판으로서 활차나 차륜 등에 사용됩니다.
반응형'건축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철금속의 종류를 파헤쳐 보자 (0) 2022.07.03 골조와 아치구조에 대해 알아봅니다 (0) 2022.06.30 케이블 지붕의 종류와 특징은 무엇인가 (0) 2022.06.27 다양한 벽돌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 (0) 2022.06.27 시멘트 분류별 특징별로 살펴보기 (0) 2022.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