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7. 11.

    by. 파하01

    반응형

    공연장 평면 형식은 연기 공간과 관객 공간과의 관계가 기본이었습니다. 예를 들면, 로마 공연장이나 고대 그리스 공연장은 관객 공간과 연기 공간이 일체로 된 오픈 스테이지 공연장이었습니다. 르네상스 후기에는 관객 공간과 연기 공간이 분리된 프로시니엄 형식이 등장하였습니다. 이제 공연장의 평면 형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공연장의 평면 형식

    공연장의 평면 형식 가운데는 프로시니엄 스테이지와 오픈 스테이지, 아레나 스테이지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프로시니엄 스테이지에 대해

    프로시니엄 스테이지는 흔히 액자 무대 또는 사진틀 무대라고도 불립니다. 왜냐하면 관객들이 무대 위의 공연을 프로시니엄이라는 큰 사진 틀을 통해 보기 때문입니다. 객석과 무대를 갈라놓는 뚫린 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이 무대 형식은 지난 300여 년 동안 가장 널리 쓰인 형태입니다. 일반적으로 프로시니엄 무대의 공간 구성과 미적 원리는 원근법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무대는 관객의 시야를 고려하여 객석 바닥에서 몇 미터 높게 설치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 무대는 대부분의 연기가 프로시니엄 뒤에서 행해져 있기 때문에 객석의 의자는 모두 무대를 향해서 배치되어 있습니다. 프로시니엄 스테이지는 복잡하고 거대한 장치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무대 뒷부분에 깊숙하고 큰 공간이 있으며, 무대 상부에는 무대 장치를 미리 올려다 놓을 수 있는 무대 탑이 있습니다. 

     

    프로시니엄 스테이지는 도구와 기계를 관객의 눈을 피해 숨겨 두기에 안성맞춤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형식은 프로시니엄 벽에 의해 연기 공간이 분리되어 관객이 프로시니엄 아치의 개구부를 통해서 무대를 보는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로시니엄 스테이지의 특징은 어떠한 배경이라도 연출이 가능하며, 배경은 한 폭의 그림과 같은 느낌을 주게 되어서 전체적인 통일의 효과를 얻는데 가장 좋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관객에게 장치, 광원을 보이지 않고도 여러 가지 장면을 연출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음악회나 독주, 강연, 연극 공연에 많이 쓰입니다. 

     

    오픈 스테이지에 대해

    오픈 스테이지는 프로시니엄 스테이지가 배우와 관객을 분리했다는 연출가들에 의해 관객과의 관계를 더욱 가까이하기 위한 목적으로 20세기 중반부터 다시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오픈 스테이지의 기본 무대 배치는 무대가 중앙까지 튀어나와 있고, 3면이나 반원형으로 무대를 둘러싼 관객이 놓여있는 상태입니다. 

     

     오픈 스테이지는 관객과의 친밀감, 프로시니엄 스테이지와 같이 단일한 배경을 사용, 원형 무대의 아늑함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조명기를 관객에게서 감출 수 없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오픈 스테이지의 장단점은 이외에도 몇 가지가 더 있습니다. 연기자와 관객 사이의 친밀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반면에 연기자는 혼란된 방향감 때문에 효과를 내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또한 이 무대는 3면이 관객에 의해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높은 평판과 배경 막 및 수평적인 가림 장치를 사용할 수 없지만 무대 위쪽에 배경 막이나 평판을 사용하여 장소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아레나 스테이지에 대해

    아레나 스테이지는 관객이 연기자를 전반적으로 둘러싸고 관람하는 형식으로 무대를 관객석이 360 º 둘러싼 형입니다. 아레나 스테이지는 다른 형태의 극장이 가지고 있는 관객과의 거리를 없애기 위한 무대였으며 시각 선은 프로시니엄 스테이지보다는 한층 향상되었습니다. 아레나 스테이지는 중앙에 원형이나 사각형의 무대가 있고 그 둘레 전체에 관객석이 있습니다. 아레나 스테이지는 관객과의 거리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무대나 의상, 소품, 분장 등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아레나 스테이지는 객석과 무대가 하나의 공간에 있기 때문에 일체감을 주면서 긴장감이 높은 연극 공간을 형성합니다.

    또한 가까운 거리에서 관람하게 되기 때문에 가장 많은 관객을 수용할 수 있고, 무대 배경은 주로 낮은 가구로 구성되어 배경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관객이 무대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관객들이 보는 시점이 저마다 현저하게 다르게 되며 연기자를 가리게 됨과 동시에 연기자가 전체적인 통일 효과를 얻기 위한 공연을 구성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