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성숙 이론은 Arnold Gesell이란 사람이 제시한 이론이다. 먼저 성숙 이론을 만든 Arnold Gesell에 대해 알아봅시다.
Arnold Gesell은 누구인가?
Arnold Gesell는 1880년에 미국 위스콘신주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관찰법을 활용하여 아동 발달을 연구한 학자입니다. Arnold Gesell은 1906년에 클라크 대학에서 G. Stanley Hall의 지도하에 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1911년에는 자신이 재직하고 있던 예일대학에 아동 발달연구소를 설립하고, 그곳에서 37년간 소장직을 맡으며 아동 발달 연구에 전념하였습니다. 1915년에 그는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그의 연구소는 의과대학과 연계가 되어 운영되었습니다. Gesell은 이 연구소에서 심리학과 의학을 통합한 정신발달의 실증적 연구에 전념하여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Arnold Gesell의 성숙이론
성숙 이론은 환경이 아동 발달에 주도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아동이 지닌 능력 이상으로 아동을 교육하는 것은 아동에게 좌절을 안겨준다고 주장합니다. 성숙 이론은 '학습 준비도' 개념을 도출해 내었습니다. 학습 준비도란 유아에게 무엇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유아가 성숙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학습의 시기에 관한 개념을 말합니다. 예를 들자면, 아동이 배울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아동이 준비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성숙 이론에 의하면, 발달이란 유기체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환경은 행동을 변화시키는 이차적 역할을 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동 자신의 속도에 적합한 발달을 위해서는 아동 중심의 양육환경을 제공할 것을 강조합니다. 성숙의 가장 큰 특징은 언제나 정해진 순서의 발달 단계를 거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태아 발달에서 가장 먼저 발달하는 기관은 심장입니다. 심장이 먼저 생성되고 발달한 후에야 비로소 세포들이 빠른 속도로 분화되어 두뇌와 척수 같은 중추 신경계가 형성됩니다. 그러고 나서 팔다리와 같은 다른 기관들이 발달하게 됩니다. 이러한 순서는 유전자 지도에 의한 것으로 결코 발달 순서가 바뀌지 않습니다. 출생 이후의 발달도 비슷합니다. 태아 때 팔다리보다 머리가 먼저 발달하는 것처럼 신생아도 머리가 먼저 발달하게 됩니다. 그러고 나서 목, 어깨, 팔 손, 손가락, 몸통, 다리, 발 등의 순서로 발달하게 됩니다. 즉, 태내 발달과 출생 이후의 발달이 모두 머리 끝에서 발끝의 순서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능력들이 이미 유전적으로 결정된 신경 성숙 과정과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Gesell은 발달의 기본 원리 네 가지를 언급하였습니다. 상호적 교류의 원리, 발달 방향의 원리, 자기 규제의 원리, 기능적 비대칭의 원리가 이에 해당이 됩니다. 상호적 교류의 원리는 영아가 먼저 한 손을 사용하고, 그러고 나서 다른 한 손을 사용하고, 그다음으로 양손을 사용하는 등 계속된 반복과정을 통해 능숙하게 손을 사용할 수 있게 될 때까지의 발달 과정을 의미합니다. 발달 방향의 원리는 발달이 무작위가 아닌 정돈된 방식에 따라 진행된다고 가정합니다. 자기 규제의 원리는 유아가 너무 빨리, 너무 많이 배우도록 강요받을 때 유아 내부에서 스스로 저항하는 힘을 의미합니다.
반응형'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아 정체감의 네 가지 범주에 대해 알아보기 (0) 2022.06.13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0) 2022.06.12 사회 문화적 인지 이론 알아보기 (0) 2022.06.08 심리 사회적 이론에 대하여 알아보기 (0) 2022.06.07 심리성적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기 (0) 2022.06.06